달력

1

« 2025/1 »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  • 31
2009. 1. 12. 16:10

Database 란?? Work/Database General2009. 1. 12. 16:10

데이터베이스란?

 

데이터베이스가 뭐냐고 물어본다면 필자는 ‘데이터를 꺼내보기 좋게 잘 저장해 놓은 것’ 이라고 하겠다. 여기에 ‘여러 명의 사용자’라는 옵션이 붙던지 ‘고도로 구조화’라는 옵션이 붙던지.. 아무튼 ‘데이터를 꺼내보기 좋게 잘 저장해 놓을 것’에 포함이 된다. 여기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은 역시 ‘잘’이란 부사이다. 데이터를 꺼내보기 좋게 ‘잘’ 저장하는 것이 우리가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는 70%라고 봐도 된다. 데이터를 ‘잘 꺼내보는 것’은 30%에 해당한다. 그러므로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과 설계라고 봐도 된다. 잘 꺼내보는 것은 DBMS를 제작하는 기술과 DBMS를 이해하고 SQL문을 작성하는 것이다. 물론 DBMS를 제작하는 기술은 그야말로 어려운 일이므로 이를 제외하면 DBMS를 이해하고, SQL문을 작성하는 것만 남게 된다.

, 그럼 데이터를 꺼내보기 좋게 잘 저장해 놓았다고 하자. 왜 이런 짓을 해야 할까? 바로 사용자의 정보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. 결국 데이터베이스는 보다 정보를 얻기 편리하게 해보자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다. 그렇다면 다른 문서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.

 

데이터베이스의 정의
논리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으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화를 꾀한 것이다. ,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. -- 네이버 백과사전

 

첫 번째로 논리적으로 연관된이란 글에 대해서 고려해보자. 연관되어있다는 것은 어떤 개념의 범위에 속해 있다는 뜻이된다. 지금 이 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아마도 “한국어를 할 수 있는 사람” 좀 더 개념의 범위를 좁혀보면 “자랑스런 조선인으로써” 나와 연관될 수 있다.(매우 정성적이지만 그렇다치자) 이렇게 개념의 범위 좀 더 이론적으로 말한다면 집합의 명제속에 속하는 원소들 끼리는 바로 논리적으로 연관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.

 

 

두 번째로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이란 글에 대해서 따져보자. 사실 말이 좀 우습다. “두개 이상의 자료의 모음” 또는 “세개 이상의 자료의 모음”이라고 해도 별로 우습지 않다. 1개의 자료나 3개의 자료나 분명히 숫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 알면 인간의 머리속에서 해결할 수 있다. 아마도 “하나 이상”의 뜻은 인간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자료의 양이 될 것이다. 정말이지 조그만한 강원도 두메산골 1평 남짓한 구멍하게를 운영한다고 하자. 상품은 30개가 되지 않는다. 하루 매출은 1만원을 넘지 않는다. 물건을 사러오는 사람도 몇 명되지 않는 동네 어르신들이다. 다른 구멍가게는 없다. 과연 매출장부가 필요할까? 그럼 대형할인마트를 생각해보자. 하루 몇 억개의 상품이 팔려나간다. 이러한 매출자료를 수작업으로 정리하려면 생각만해도 짜증스럽다. 어찌되었건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이라는 것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뜻할 것이다.

 

세 번째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화를 꾀 한 것이란 글에 대해서 살펴보자. 위에서 예를 든 대형할인 마트로 다시 돌아가보자. 그 수많은 상품들을 아무런 진열도 하지 않고 그냥 쏟아 부어 놓았다고하자. 여러가지 상품이 산더미처럼 얼켜있을 것이다. 상품의 가치도 가치이거니와 원하는 물건을 사기위해서는 많이 뒤져봐야 할 것이다. 또한 A라는 상품이 없다고 어떤 고객이 눈앞에서 난리를 치고 있다. 할 수 없이 대형할인마트의 재고관리자는 포크레인으로 A상품을 쏟아 부었다고 하자. 그런데 내가 찾는 상품은 알고보니 제일 먼저 쏟아부어 제일 바닥에나 있다고 하자. 어찌되었던 내가 원하는 상품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상품이 또 밑으로 내려가야 한다. 장사가 될까? 데이터베이스도 마찬가지이다. 자료를 잘 정리정돈 해놓아야 데이터를 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. (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하는 방법은 데이터 모델링과 설계부분이다. 이는 나중에 다룰 것이다.)

 

네 번째로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이란 글을 살펴보자. 백과사전이라 그런지 몰라도 데이터베이스의 탄생배경을 생략해 놓은 듯한 글귀다. 우찌되었건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적(물론 지금도 사용하고, 어떤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보다 더 효율적이다)에 발생되었던 문제의 근본 원인인 “자료의 중복”을 들먹이고 있다. 물론 자료의 중복은 중복을 아예 없애라는 것이 아니라 “최소한의 중복”이다. 이러한 자료의 중복을 없애는 작업이 나중에 나오게 될 데이터베이스의 꽃인 “정규화”이다. 그럼 현재는 데이터베이스는 자료의 중복이 많이 없어졌을까? 알 수 없다. 필자가 본 많은 데이터베이스는 엄청나게 많은 자료의 중복이 있었다.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괴로워하는 것도 많이 보았다. 데이터베이스를 잘 사용하지 못하면 오히려 파일시스템보다 더 중복이 일어날 수 있다. 데이터베이스 답게 사용하려면 자료의 중복을 없애는 일이 너무나도 중요하다. 자료의 중복을 없애는 것은 좋은 정보를 만들어내는 지름길이다.

 

데이터베이스의 특징

 

 

ü        똑같은 자료를 중복하여 저장하지 않는 통합된 자료

ü        컴퓨터가 액세스하여 처리할 수 있는 저장장치에 수록된 자료

ü        어떤 조직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며 존재 목적이 뚜렷하고 유용성 있는 운영 자료이기 때문에 임시로 필요해서 모아 놓은 데이터나 단순한 입출력 자료가 아니라는 점

ü        한 조직에서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는 그 조직 내의 모든 사람들이 소유하고 유지하며 이용하는 공동 자료로서 각 사용자는 같은 데이터라 할지라도 각자의 응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.

 

 www.databser.net에서.. 퍼온거 같은데... 기억이 가물가물하다..

 

:
Posted by Elick